반응형

Linux 121

[리눅스] ln 명령어 완벽 가이드 사용법

ln 명령어는 링크(link)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링크는 하드 링크(hard link)와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의 역할과 목적이 다릅니다. 하드 링크는 원본 파일의 복사본처럼 동작하며, 심볼릭 링크는 파일의 경로를 가리키는 일종의 단축 아이콘 같은 역할을 합니다.하드 링크 (Hard Link)하드 링크는 원본 파일과 동일한 데이터 블록을 가리키므로, 파일 내용이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파일의 이름을 바꾸거나 원본 파일을 삭제하더라도 하드 링크는 여전히 파일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하드 링크 생성 명령어ln 원본파일 링크파일예를 들어, file1.txt라는 파일을 file1_hardlink.txt라는 하드 링크로 생성하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합니다.user@lin..

Linux 2024.09.29

[리눅스] touch 명령어 완벽 가이드 사용법

touch 명령어는 파일의 생성 및 파일의 시간 정보(액세스 시간, 수정 시간)를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파일을 빠르게 생성할 때 많이 사용되지만, 이미 존재하는 파일의 시간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파일을 생성할 때 특정 내용이 들어가지 않으며, 빈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 특징입니다.touch 명령어 기본 사용법touch 파일명위 명령어를 통해 새로운 파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만약 파일이 이미 존재하면, 해당 파일의 액세스 시간과 수정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업데이트합니다.touch 명령어 예시아래는 touch 명령어가 실제로 리눅스 터미널에서 실행되는 모습입니다:user@linux:~/Documents$ touch example.txtuser@linux:~/Documents$ lsexamp..

Linux 2024.09.29

[리눅스] clear 명령어 완벽 가이드 사용법

clear 명령어는 터미널 화면을 깨끗하게 지우는 역할을 합니다. 터미널에 출력된 기존 명령어와 결과들을 보이지 않도록 하여 작업 중 혼란을 줄여줍니다. 터미널 창을 새로 열지 않고도 현재의 화면을 초기 상태로 되돌리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하지만 clear 명령어가 실행되더라도 이전 명령어 출력은 완전히 삭제되지 않으며, 스크롤을 통해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clear 명령어 기본 사용법clear단순하게 명령어만 입력하면 현재 터미널의 출력 내용을 모두 지우고 화면을 비워줍니다.clear 명령어 예시아래는 clear 명령어가 실제로 리눅스 터미널에서 실행되는 모습입니다:user@linux:~$ lsDocuments Downloads Music Pictures Videosuser@linux:~$..

Linux 2024.09.29

[리눅스] alias 명령어 완벽 가이드 사용법

alias 명령어는 자주 사용하는 긴 명령어를 짧은 이름으로 대체하여 작업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일시적인 별칭을 생성하거나, 시스템의 셸 환경 설정 파일에 추가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긴 옵션을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간단하게 실행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alias 명령어 기본 사용법alias 단축명령='실제명령'단축명령은 사용자가 지정하는 이름이고, 실제명령은 이를 대체할 명령어입니다. 예를 들어, ls -la 명령어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 이를 ll로 단축할 수 있습니다:alias ll='ls -la'이렇게 하면 앞으로 ll을 입력하면 ls -la 명령어가 실행됩니다.alias 명령어 확인하기현재 설정된 모든 alias를 확인하려면:user@linux:..

Linux 2024.09.29

[리눅스] history 명령어 완벽 가이드 사용법

history 명령어는 리눅스 터미널에서 사용자가 실행한 명령어들의 기록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과거에 입력한 명령어를 기억할 필요 없이 다시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을 돕습니다. 기본적으로 터미널에서 실행된 명령어들이 저장되며, 이를 조회하고 재실행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history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history이 명령어는 사용자가 터미널에서 입력한 모든 명령어의 목록을 표시합니다. 각 명령어는 고유한 번호와 함께 출력되며, 이 번호를 이용해 특정 명령어를 다시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특정 개수의 명령어만 보기최근에 입력한 명령어만 보고 싶을 때는 history 명령어 뒤에 숫자를 입력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최근 10개의 명령어만 보고 싶다면:his..

Linux 2024.09.29

[리눅스] ssh 명령어 완벽 가이드 사용법

ssh (Secure Shell)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이자 명령어입니다. 서버 관리, 원격 파일 전송 등 다양한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 내용은 암호화되어 해킹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주로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터미널을 통해 명령을 실행하거나 서버의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때 사용됩니다.ssh 명령어의 기본 구조ssh [옵션] 사용자이름@서버주소사용자이름: 원격 서버의 사용자 계정서버주소: IP 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옵션: 추가적인 설정을 위한 다양한 옵션ssh 명령어 사용 예제기본적인 원격 서버 접속user@linux:~$ ssh john@192.168.1.10실행 결과 (예시):The authenticity of host '192.168.1..

Linux 2024.09.29

[리눅스] ip 명령어 완벽 가이드 사용법

ip 명령어는 네트워크 관리와 관련된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ifconfig 명령어의 대체 도구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라우팅 테이블, IP 주소, 터널 등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최신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ifconfig 대신 ip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ip 명령어의 주요 기능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조회 및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를 확인하고,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IP 주소 추가 및 삭제: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설정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라우팅 테이블 관리: 시스템의 라우팅 테이블을 조회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활성화/비활성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ip 명령어 사용 예제..

Linux 2024.09.28

[리눅스] ifconfig 명령어 완벽 가이드 사용법

ifconfig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및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리눅스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확인하거나, IP 주소를 설정하고 변경하는 데 유용합니다. 특히 네트워크 관련 문제를 해결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기본적으로 ifconfig는 시스템에 설정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출력하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ifconfig의 주요 기능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확인: 네트워크 카드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IP 주소 설정: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활성화/비활성화: up 또는 down 옵션을 사용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습..

Linux 2024.09.27

[리눅스] ping 명령어 완벽 가이드

ping 명령어는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할 때 주로 사용되는 기본적인 도구입니다. 특정 IP 주소나 도메인으로 패킷을 전송하여 그 응답 시간 및 패킷 손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거나, 연결이 느린지 또는 불안정한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ping 명령어 사용법ping 예를 들어, google.com에 대해 ping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user@linux:~$ ping google.comPING google.com (142.250.199.110) 56(84) bytes of data.64 bytes from fra16s27-in-f14.1e100.net (142.250.199.110): icmp_seq=1 ttl=116 time=1..

Linux 2024.09.27

[리눅스] free 명령어 완벽 가이드

리눅스에서 free 명령어는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free 명령어는 물리적 메모리(RAM)와 스왑 메모리의 사용량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시스템에서 얼마나 많은 메모리가 사용 중인지, 얼마나 남아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free 명령어 사용법free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메모리의 사용량을 출력해줍니다. 하지만 더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하려면 -h 옵션을 사용해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크기 단위(GB, MB 등)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free -h실행 예시:user@linux:~$ free -h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

Linux 2024.09.27
반응형